심프슨의 역설은 각 소집단에서 보이는 경향이 전체 집단에서도 같다고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론조사 등에서 지역별 통계를 구해 어떤 특성을 파악하게 되었다고 해도 전체 통계에서도 그러한 특성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많이 발생되는 오류로 대부분의 사람은 이를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표 1]은 A 대학교의 전기전자과와 약학과에 지원한 학생 수와 합격한 학생 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1 ] A 대학교 지원자 수(합격자 수) | |||
A대학교 | 남자 | 여자 | 계 |
전기전자과(정원 108명) | 100(80) | 80(48) | 180(108) |
약학과(정원 50명) | 40(20) | 60(30) | 100(50) |
계 | 140(80) | 140(78) | 280(158) |
[표 2]는 전기전자과의 합격률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전기전자과 합격률 | |||
전기전자과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남자 | 100 | 60 | 60% |
여자 | 80 | 48 | 60% |
[표 3]은 약학과 합격률을 나타낸 것이다.
[표 3] 약학과 합격률 | |||
약학과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남자 | 40 | 20 | 50% |
여자 | 60 | 30 | 50% |
[표 2]에서 전기전자과를 지원한 학생의 합격률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60%의 합격률을 나타내었고, [표 3]에서 약학과를 지원한 학생의 합격률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50%로 두 과에서 남녀 모두 같은 합격률을 나타내었다.
그러면, A대학교에서 전기전자과와 약학과에 지원한 전체 학생의 남녀 합격률은 같다고 말할 수 있는가?
[표 4]는 전기전자과와 바이오약학과에 지원한 전체 학생의 합격률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 4] A대학교 성별 합격률 | |||
전체 | 응시자 수 | 합격자 수 | 합격률 |
남자 | 140 | 80 | 57.1% |
여자 | 140 | 78 | 55.7% |
[표 4]에서 알 수 있듯 A대학교에 지원한 남학생과 여학생 수는 같지만 합격자 수는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과별로 남녀의 합격률은 모두 같았지만 이를 근거로 하여 전체 남녀학생의 합격률이 같다고 말할 수 없다.
이렇게 부분적인 결과와 전체적인 결과가 다른 이유는 각 학과의 정원이 다르고 그 정원에 따른 남녀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류는 실제 여론 조사에서도 많이 범해지고 있다. 이러한 오류를 알고 통계, 수치를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수학 > 중고등학교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키메데스의 정다면체 (19) | 2023.07.21 |
---|---|
이항정리의 증명 (2) | 2023.07.21 |
무한 개념에 대하여 (0) | 2023.07.18 |
수학으로 본 세 명의 총잡이 결투(게임이론) (1) | 2023.07.13 |
확률에서 꼭 알아야 하는 파스칼의 삼각형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