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4/06/14

(6)
수학적 발명과 창조적 사고 일반적으로 수학은 창조적 활동이라고 수학자들은 생각한다. 여러분은 어떤가? 위에 적힌 주제는 누구나 한두 번쯤은 생각해 본 주제는 아닐지도 모른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창조적인 활동은 우선 어떤 것이 있을까? 쉬운 것부터 생각해 보자. 발견하는 행위와 발명을 손꼽을 수 있다. 이 둘의 개념적 구분은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 같다. 우선 발견은 하나의 현상이라든가 법칙, 그리고 존재하고는 있었지만 사람들이 알지 못했던 생물 등과 관련된다. 그리고 발명은 과학적 발명을 포함하여 창조적 활동의 좀 더 높은 단계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발견과 구분은 보기보다는 덜 분명한 것 같다. 토리첼리는 수은주의 수은이 일정 높이까지 올라감을 관찰하였고, 이는 하나의 발견이었다. 그러나 이 일을 통하여 그는 기압계를..
테셀레이션(Tessellation) 만드는 방법 1. Tessellation 만드는 방법 Step 1 : 그림판에서 좋아하는 색깔을 선택해서 사각형을 만든다.Step 2 : 사각형의 왼쪽을 위에서부터 원하는 형태의 모양을 아래로 잘라낸다.(오른쪽으로 잘라내도 된다).Step 3 : 잘라낸 왼쪽 부분을 오른쪽에 붙인다. 이때 겹치거나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Step 4 :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도형의 윗부분(또는 아랫부분)을 잘라내어 아랫부분(또는 윗부분)에 붙인다.Step 5 : 만든 모양에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예쁘게 꾸며준다. 그리고, ctl+c를 사용하여 모양 하나를 복사한 후, 다른 색깔로 바꿔준다.Step 6 : 첫 번째 줄에 파란색 모양과 빨간색 모양을 바꾸어가며 붙여준다.Step 7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줄을 만들어 연속적으로 이어서..
수학과 음악 서양음악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적이고 이성적 가치관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피타고라스는 수학과 음악을 연결시킨 최초의 사람이다. 피타고라스 학파 시대의 학문은 음악, 천문, 기하학, 정수론으로 이루어졌다. 이때 학문으로서의 음악은 지금처럼 연주를 중시한 것이 아니고 수의 비율, 비례를 엄밀히 다루는 수학적 학문 분야로서 생각되어졌다.. 즉, 음악은 소리와 화음의 과학이었다.1. 피타고라스 음계와 현의 길이의 관계피타고라스는 길이가 1인 현을 울려서 소리를 내고, 다음에 길이가 2/3인 현을 울려서 소리를 내면, 처음의 소리보다 5도 높은 소리가 나옴을 알았다. 또한 길이 1/2인 현은 원래의 소리보다 정확히 한 옥타브 높은 소리가 남을 발견하여 “다”음의 현의 길이가 1일 때, 각 음들이 길이가 1인 현의..
수학과 건축(19세기와 20세기의 변화) 19세기에 와서는 과학과 예술의 분리가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수학자와 건축가의 역할이 분리된다. 이것은 수학과 건축의 연결이 없어졌다는 말이 아니고 다만 같은 사람이 동시에 과학적이며 예술적인 양상을 갖고 있지 않다는 말이다. Buckminster Fuller는 20세기에 기하학의 원리를 새로운 개념으로 건축에 도입한 토목기사, 철학자, 수학자이며 건축가였다. 그는 기능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목적을 위하여 단순한 기하학의 형태들을 건축에 사용한 선구자였고 구조상의 순수함으로 예술을 표현하였다. "생물의 알은 모두 구형이며, 구형은 외부의 힘에 가장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는 기본적인 논리와 자연의 미생물이 지닌 유기적인 형태 구조의 원리를 건축에 도입하려고 한 그는 1940년대 후반에 우주 전체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수학과 건축 수학사에 있어서의 르네상스의 의의는 바로 이 새로운 예술의 탄생과 깊은 관련이 있다. 비록 획기적인 수학 이론을 낳지는 않았지만 예술과의 접점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가 개척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중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60구 이상의 인체를 해부하여 그것들을 모두 노트에 묘사하였으며, 그 밖에 축성, 운하, 선박, 교량의 건설을 계획하였다. 그는 건축에 대하여 폭넓게 이해하고 있었고 건축에 관한 글들을 모아 “건축론”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현재 프랑스 학술원에 분류, 소장되어 있는 그의 “건축론”은 건축의 형태와 양식뿐 아니라..
수학과 건축 (브루넬레스키(Brunelleschi)의 투시화법(원근법)과 알베르티(Alberti)) 금세공으로 훈련을 받은 Brunelleschi는 로마를 방문하였을 때에 건축에 대한 기술을 익혔다. 그는 특히 둥근 천장들, 둥근 지붕과 같은 건축의 요소들의 작도를 공부하면서 목욕탕, 원형경기장과 사원들을 포함한 아주 많은 고대 건물들을 그렸다. 그는 플로렌스 성당의 돔의 설계에 응모하여 당선되어서 르네상스 건축의 상징적 출발점이 되었다. 그의 건축 연구의 목적은 로마 건축을 재현하려는 것이 아니고 그 시대의 건축을 풍요롭게 하며 그의 설계기술을 완전하게 하려는 것이었다. Brunelleschi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투시화법(원근법)의 원리들을 발견한 것이다. 투시화법(원근법)의 원리란 캔버스에 그림 그릴 때 3차원을 2차원 평면에 현실감 있게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 전의 학자들도 ..

반응형